20191208_TIL

|

12/08 일요일

깃 블로그 이전

  • 기존 깃 블로그 가독성이 별로 좋지않아 새로운 템플릿의 블로그로 이전 하였다.

    템플릿에 커스텀 작업이 꽤 많이 적용되어 있어 분석하는데 조금 애를 먹었지만

    댓글 기능도 추가되었고, 카테고리별로 포스팅을 분류하여 가독성이 훨씬 좋아졌다!

    옮기는 중에 기존 레파짓토리를 실수로 삭제해서 contribution log가 다 날라가버렸다..

    github 쪽에 문의는 했으니 결과를 기다려 봐야겠다

20191207_TIL

|

12/07 토요일

  1. 스프링 프레임워크 핵심 기술

    • @ComponentScan

      • 스캔 위치 : 해당 클래스가 존재하는 패키지를 포함한 하위 패키지

      • 필터 : 어떤 애노테이션을 스캔 할지 말지 결정

      • 동작 원리

        • @ComponentScan은 스캔할 패키지와 애노테이션에 대한 정보

        • 실제 스캐닝은 ConfigurationClassPostProcessor라는 BeanFactoryPostProcessor에 의해 처리됨

    • @Component (컴포넌트스캔 대상)

      • @Repository
      • @Service
      • @Controller
      • @Configuration

20191206_TIL

|

12/06 금요일

  1. 알고리즘

    • Introduction to Algorithm
      • 분할정복을 이용하여 최대 부분 배열 구하는 알고리즘 학습 및 구현
      • 재귀 트리 메서드를 이용하여 점화식 증명
  2. 네트워크

    • 성공과 실패를 결정하는 1%의 네트워크 원리
      • 2장 - Story03-04
        • TCP가 HTTP Request를 애플리케이션에서 요청받아 하는 일들에 대해 학습하였다.
  3. 내일 할 일

    • 스프링 프레임워크 핵심 기술 인강 듣고 정리하기
  • 소감
    • 알고리즘 공부하는 게 수학 공부하는 느낌에 가깝다는 생각이 들었음.
    • 처음부터 끝까지 공부하기 보다는 필요한 부분만 공부하는 게 효율적일 것 같다.
    • 날씨가 추워져서 그런지 아침에 일찍 일어나는게 힘들다.

20191205_TIL

|

12/05 목요일

  1. 알고리즘

    • Introduction to Algorithm
      • 66p-146p까지 학습 (1-3~1-4)
      • 점화식 푸는 방법과 확률적 분석에 대한 내용
      • 한번에 이해하기 힘들어 빨리, 여러번 읽는 전략으로 변경
      • 44p까지 2독
  2. 네트워크

    • 성공과 실패를 결정하는 1%의 네트워크 원리
      • 2장 - Story01. 프로토콜 스택에서 소켓을 작성하는 방법
      • 2장 - Story02. 프로토콜 스택에서 서버에 접속하는 방법
  3. 내일 할 일

    • 08시 기상

20191204_TIL

|

12/04 수요일

  1. 알고리즘
    • 점근적 표기법(Θ, ,O) 을 학습하였다.
      • Θ 표기법은 알고리즘 성능이 특정 범위안에 존재할 때 사용한다.
      • 표기법은 알고리즘 성능이 특정 함수보다 같거나 나쁘다 (점근적 하한선)
      • O 표기법은 알고리즘 성능이 특정 함수보다 같거나 좋다. (점근적 상한선)
        • 최악의 경우를 표현 할때 주로 사용한다.
  2. 네트워크
    • DNS 서버와 프로토콜 스택이 서버와 소켓을 이용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내용을 학습하였다.
  3. 내일 할 일
    • 프로자백러 수업 전 한 번더 복습
    • Introduction to Algorithm 4장(분할과 정복) 학습